2022년에 달라지는 금융제도들이 있는데요 청년층의 창업과 자산관리를 위한 지원이 더 늘어날 예정입니다. 그중에서 올 상반기 예정된 청년창업 지금은 청년창업기업 등에 투자하는 대규모 펀드를 조성하여 청년창업을 위한 모험자본의 공급이 확대된다고 하는데요, 어떤 종류가 있고 어떻게 신청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청년창업지원금 검색방법 및 주요 지원 내용
우선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에서 만든 K 스타트업이라는 사이트를 통해서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더불어 신청도 가능합니다.
내게 맞는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처음부터 회원가입이나 로그인을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사이트 중간을 보시면 창업단계와 관심분야를 선택한 후 내게 맞는 정보를 빠르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창업단계로는 예비단계, 초기단계, 도약 단계, 재도전 단계 4개로 구분이 되고 관심분야로는 행사•네트워크, 창업교육, 멘토링/컨설팅, 사업화, R&D, 시설•공간•보육, 융자 7개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이곳에서 내 상황에 맞게끔 창업 단계와 관심분야를 선택하고 찾아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그것에 맞는 정보가 우측 창에 검색 결과를 보여줍니다.
만일 검색 결과에 내가 원하는 정보가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홈페이지 우측 상단 검색창에 '2022년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를 검색하시면 중앙정부 및 각 시•도별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모든 내용을 담고 있는 자료를 확인하고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 주요 내용
▶총괄
◦ 대상기관•사업 : 94개 기관, 378개 사업
※ (중앙부처) 14개 부처, 100개 사업 / (지자체) 80개 광역‧기초지자체, 278개 사업
◦ 예산 규모 : 3조 6,668억
◦ 사업유형별 : 사업화 (172개), 시설•보육 (96개), 행사•네트워크 (37개), 멘토링 (32개), 창업교육 (30개), 기술개발 (6개), 융자 (5개) 순
◦ 신청 : K-Startup 포털 (k-startup.go.kr) 및 각 기관 홈페이지 등을 통해 사업별 별도 공고 예정으로, 신청자격 등을 확인하여 개별 신청
▶ 기관별 현황
◦ (중앙부처) 100개 사업 (전체 대비 26.5%), 3조 5,578억(전체 대비 97.0%)
- 중기부 (3조 3,131.2억, 90.4%), 문체부 (626.8억), 과기부 (533.7억) 순
◦ (지자체) 278개 사업 (전체 대비 73.5%), 1,090억 (전체 대비 3.0%)
- 경기도 (204.1억), 서울시 (142.3억), 전남도 (108.3억) 순
▶사업유형별 현황
◦ 융자 (20,220억, 55.1%), 사업화 (9,132억, 24.9%), 기술개발 (4,639억, 12.6%), 시설•보육(1,549억, 4.2%), 창업교육 (569억, 1.6%) 순
그런데요 사업별 지원하는 내용이 너무 많기 때문에 내가 맞는 지원 내용을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때문에 자료를 보실 때 붉은색 박스로 표시된 지원 대상부터 확인한 후 지원내용을 참고하시는 것이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지원 대상과 사업명을 확인하고 난 다음에 사업명 앞에 있는 번호를 확인하신 후 위에 올려드린 파일 중 '2022년 창업지원사업 안내 책자'를 확인하면 해당 사업이 안내된 페이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해당 페이지로 이동하면 자세한 사업내용과 모집 기간, 지원 규모, 지원내용, 신청방법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지원 대상은 위에서 안내해 드린 통합공고에서 먼저 확인했다는 점 기억하시면 좋겠지요.
일반적으로 신청방법은 각 부처별, 시•도별 해당 사업 홈페이지를 통해서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내가 지원하고자 하는 사업이 어디에서 운영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만, 안내 책자에 자세하게 나와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마지막으로 K-스타트업 홈페이지에 처음 접속하면 최근 들어 창업 지원금 수혜를 위한 '불법 중개인'으로 인해 피해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는 내용과 주의할 것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그 예로는 창업 지원금 선정 조건으로 지원금의 일정 비율에 대한 성공 수임 요구, 신청 서류 대필 작성에 대한 수수로, 정부기관 사칭 등 불법 중개인의 부당 개입에 주의할 것을 알리고 있는데요, 이런 지원 사업에 처음 도전하시는 분들이 경험이 없기 때문에 이런 상황이 벌어지는 것 같습니다.
물론 처음 도전하는 일이 때문에 낯설고 어려울 수 있지만 관련 내용을 꼼꼼히 살펴보면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닐 것으로 판단되며, 어려운 부분은 해당 부처의 공무원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청년창업지원금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 알아봤고요, 2022년 올해 도전하시는 모든 일들이 잘 풀리시기를 바랍니다.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소상공인 지킴자금 100만원 지원 2월 7일부터 신청 (0) | 2022.02.07 |
---|---|
2022년 4대보험 계산기 사용법 및 보험요율 설명 (0) | 2022.02.06 |
4대보험 가입(납부)확인서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받자 (0) | 2022.02.06 |
2022년 청년희망적금 출시 자격조건 신청방법 미리보기 (0) | 2022.01.29 |
본인부담상한제 환급 방법 국민건강보험료 환급금액 언제 신청하나? (0) | 2021.09.03 |
댓글